1버튼 코드

2025 모성보호시간, 회사별 유급 여부와 거부 대응 방법

2025 모성보호시간

📊 회사별 유급/무급 비교표

모성 보호시간의 유급 여부는 법적으로 반드시 유급이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대신 회사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에서 정한 내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업종별·기업규모별로 실제 운영 사례를 정리한 참고 표입니다.

구분 유급 무급 비고
대기업(500인 이상) 단체협약·복지규정에 따라 전액 유급인 경우 많음
중견기업(100~499인) 유급/무급 혼합 운영, 일부 시차 출퇴근만 유급
중소기업(5~99인) 무급 비율 높음, 단 일부 정부지원 활용 시 유급 가능
공공기관/공무원 - 국가공무원복무규정·지방공무원 복무 조례에 따라 전액 유급

※ '○' = 대부분 유급 / '△' = 일부 유급 / '-' = 해당 없음

💡 TIP : 회사 내 취업규칙, 단체협약, 인사규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일부 중소기업은 고용노동부 ‘육아휴직 등 지원금’과 연계해 유급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거부 시 대처 방법

모성 보호시간은 근로기준법 제74조에 따라 보장되는 권리로, 회사가 거부하거나 불이익을 주면 위법입니다. 거부 시 다음과 같은 절차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서면 요청 기록 보관 - 신청서 사본, 이메일 발송·수신 내역, 거부 통보 문구를 반드시 보관합니다.
  2. 인사팀·부서장 재협의 - 법적 근거(근로기준법 제74조)와 임신·출산 근로자 보호 의무를 근거로 재요청합니다.
  3. 노동청 진정 - 거부가 지속되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없이 1350) 또는 관할 지방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합니다.
    - 진정서에는 신청서 사본, 거부 통보 자료, 진단서 사본을 첨부합니다.
  4. 노무사 상담 - 필요 시 무료 노동상담센터 또는 노무사 상담을 통해 법적 조치 방향을 안내받습니다.

💡 참고 : 모성 보호시간 거부나 불이익을 준 사업주는 500만원 이하 벌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